낙동강 발원지 황지 연못은 태백시 황지 3동 시가 중심부에 위치해 있으며 둘레가 100m인 상지, 50m인 중지 30m인 하지로 된 3개의 연못으로 나뉘며 상지 남측에 수굴의 깊이를 잴 없는 수원이 낙동강 발원지가 됩니다.
가뭄에도 장마에도 변함없는 수량으로 1일 약 5,000톤이 용출되며 수온은 15도를 유지하는 해발 700m로 이 지역의 상수도 취수장으로 전국 최적의 오염되지 않은 상수원입니다.
고지도, 도욱여지승람, 택리지 등 옛 문헌에 의하면 낙동강 발원지로서 옛 신라문화와 가야의 번영을 이룩하며 한민족과 숨결을 함께한 젖줄 1,300리 낙동강을 쉼 없이 오늘도 흘러 보내는 것이다.
황지 연못은 황 씨 성을 가진 황 씨가 의 옛터로 어느 날 스님이 시주을 청하였는데 인색한 황부자는 시주을 거절했습니다.
외양간에서 쇠똥을 치우던 황 씨는 쇠똥을 시주 바랑에 넣어주며 이거나 받으라고 하였습니다.
방아를 찧던 며느리가 이를 보고 쌀을 한 바가지를 주며 용서울 빌었으나 스님은 이 집이 운이 다했으니 아기를 업고 소승의 뒤를 따르고 어떠한 일이 있어도 뒤돌아보지 말라고 말합니다.
산마루에 이르렀을 때 뇌성벽력과 땅이 갈라지는 듯한 소리에 깜짝 놀란 며느리는 노승의 당부를 잊고 뒤를 돌아보는 순간 돌이 돼버렸고 황부자집은 땅밑으로 꺼져 간 곳이 없고 집터는 연못으로 변하였다고 합니다.
삼척시 도계읍 산마루에는 황지 쪽을 바라보는 아기을 업은 돌미륵이 있다고 합니다.
황부자의 집터는 지금의 상지, 방앗간자리는 중지, 변소터는 하지로 변했다고 하며 뇌성벽력과 함께 변해버린 연못에서 유래된 지명이 황지인 것입니다.
집터 상지연못입니다. 깊이를 알 수 없는 상지연못 수길은 육안으로 볼 수 없었으나 1일 5000톤이 용출되고 있다고 합니다. 이 물이 황지천을 따라 낙동강 1300리의 발원지가 되어 구문소를 지나 흘러 흘러 낙동강으로 들어갑니다.
방앗간터 중지못입니다. 다리 아래 물이 하얗게 물이 솟아나는 모습이 신기했습니다.
변소터가 변한자리 하지못입니다. 하지도 물이 계속 올라오고 있는 모습입니다.
황지 연목은 주변은 공원처럼 잘 조성되어 시민들의 휴식공간으로 이용되며 관광객들의 여행지가 되고 있으며 황지 공원으로도 불리고 있습니다.
상지연못을 바라보며 욕심 많은 황부자가 이무기로 변하여 연못으로 들어가는 모습을 상상해 봤습니다.
태백시민들이 산책하는 모습이 보입니다. 접근성이 좋은 황지 연못은 태백시민들의 쉼터 같습니다.
강원도 태백시 황지연목길 12. 위치한 황지공원 연못길은 한국명수 100선 중의 한 곳이기도 합니다.
비가 내릴 거라는 예보는 있었지만 휴양림도 예약했고 태백 야생화 탐방도 예약된 상태고 무엇보다 가고 싶은 마음이 커서 출발했는데 비가 와서 태백고원 자연휴양림에서 힐링하고 내려왔습니다.
감사합니다~~^^